•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2025년 5월 10일 토요일
No Result
View All Result
KoreanHerald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KoreanHerald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KoreanHerald
Install App

Home 부동산/경제

미국 경제 1분기 위축, 관세 앞두고 수입 급증. 소비 지출·정부 지출 감소, 수출입 격차는 역대 최대치

02/05/2025
in 부동산/경제
미국 경제 1분기 위축, 관세 앞두고 수입 급증. 소비 지출·정부 지출 감소, 수출입 격차는 역대 최대치

2025년 1분기 미국 경제가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MissVine

2025년 1분기 미국 경제가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수입을 서두른 가운데, 소비 지출도 둔화한 영향이다.

미 상무부는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계절 및 물가 변동을 감안해 연율 기준 0.3%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2022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미국 경제의 주축인 소비 지출은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23년 중반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연방 정부 지출도 감소했다. 정부 효율성부(DGE)는 고용과 계약을 줄였다.

트럼프발 무역전쟁

1분기 경제 위축의 주된 원인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무역정책이었다.

수출입 차이인 순수출은 GDP 성장률에서 5%포인트 가까이를 깎아냈다. 이는 1947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최대 감소 폭이다. 기업들은 1분기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서둘러 수입을 늘렸다. 관세는 2분기에 접어들며 한층 더 확대되었으며, 수입 증가율은 팬데믹 봉쇄 해제 이후 수입이 급증했던 2020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수입은 해외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므로, 상무부의 GDP 산정에서 차감된다.

웰스파고(Wells Fargo)의 경제학자 섀넌 그라인(Shannon Grein)은 “GDP 수치가 하락했다고 해서 실제 수요가 크게 위축된 것은 아니다”라며 “관세를 피하기 위한 사전 구매가 영향을 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간 최종 수요는 탄탄

기업과 가계의 실제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인 민간 최종 수요(민간 최종 소비 및 투자를 의미하며 정부 지출, 재고 및 무역을 제외함)는 1분기에 3% 증가했다. 전분기 2.9%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장비 투자와 재고 확충도 이뤄졌다. 다만 해당 보고서는 시차가 있는 과거 시점의 자료이며, 2분기 들어서도 관세 발표와 금융시장 불안은 지속되고 있다. 이날 오전 주가는 급락했고, GDP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인 0.4% 성장에도 못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상황에 대해 전임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는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이건 바이든의 주식시장이지 트럼프의 것이 아니다. 나는 1월 20일에야 취임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경제 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장기적으로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고 제조업 일자리를 되살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3월 상품 무역수지 적자는 기업들의 관세 회피 수입 급증으로 인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분기 경제 위축의 주된 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이었다. 사진: Wallula

자동차 수요도 급증

이날 발표된 별도의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3월 소비 지출은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가계가 자동차를 앞당겨 구매하면서 큰 폭의 증가를 이끌었다.

무디스(Moody’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Mark Zandi)는 “이번 GDP 수치가 경제의 약세를 과장한 측면은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약한 상황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 지출 둔화와 연방 정부 지출 감소를 지적하며, 4월 소비자 심리가 하락한 점도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소비자 심리가 약화되면서 이들이 계속해서 지출을 이어갈 것이라는 자신감이 약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행정부가 관세 정책에서 출구를 조속히 찾지 못하면 앞으로도 GDP 마이너스 성장과 일자리 감소가 계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권 교체기 경제 평가

이번 GDP 보고서는 1~3월 분기 동안의 미국 경제를 평가한 첫 공식 지표다. 이 기간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으로 정권이 교체된 시기였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인 1월에는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대형 산불과 겨울 폭풍 등 기상 악재가 있었다. 2025년 초 미국 경제는 안정적인 출발을 보였다.

2024년에도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갔고, 인플레이션도 둔화되는 추세였으며, 고용 시장도 2025년 들어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과 소비자들은 향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토로하고 있다. 관세로 인해 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졌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 성적을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1월 취임 직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가 이후 보류했으며, 중국산 제품에는 곧바로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한 관세 확대 정책은 2분기 첫날인 4월 2일 발표되었고, 대기업 CEO들도 관세 정책의 혼선에 우려를 나타냈다.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 펩시코(PepsiCo), 프록터앤갬블(Procter & Gamble) 등 주요 기업 경영진은 “관세 발표가 자꾸 번복돼 경영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소비자들도 불안해한다”고 밝혔다.

일부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기 시작했다.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는 자동차 관세를 이유로 2025년 수익 전망을 철회했다.

콜게이트-팜올리브(Colgate-Palmolive)의 노엘 월리스(Noel Wallace) CEO는 “불확실성은 소비자들에게 긴장과 불안을 만든다”며 “칫솔 하나, 바디워시 하나조차 아껴 사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학자들은 관세로 인해 물가가 다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 ClassicallyPrinted

인플레이션과 금리 사이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3월 연간 인플레이션은 둔화되었지만, 경제학자들은 관세로 인해 물가가 다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발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가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 딜레마를 안기고 있다. 연준은 물가 안정과 고용 확대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은 4월 중순 “단기적으로는 소비자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으며, “이 경우 금리를 올리면 실업이 더 악화되고,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더 오를 수 있어 연준으로서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경미(Caty)기자 kyungmi@koreanherald.com.au

ShareTweet

Next Post
운전면허 제도 변경으로 일부 영주권자 ‘무면허’ 될 수도. EDR 제도 폐지 임박, 시험 없이 면허 전환 불가

운전면허 제도 변경으로 일부 영주권자 '무면허' 될 수도. EDR 제도 폐지 임박, 시험 없이 면허 전환 불가

KoreanHerald

뉴스 카테고리

  • 디지털 한국신문
  • 부동산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Uncategorized

주요 정보

  • About
  • Advertise
  • Contact

© 2020 한국신문 - Powered by Techwide.net.

Newsletter
No Result
View All Result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 2020 한국신문 - Powered by Techwid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