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2025년 5월 15일 목요일
No Result
View All Result
KoreanHerald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KoreanHerald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KoreanHerald
Install App

Home 문화

고대 원주민 유적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21/11/2020
in 문화

빅토리아 주 소재 ‘Budj Bim Cultural Landscape’ 지역

6천600여 년 전 호주 원주민 ‘Gunditjmara’ 부족의 양식장

 

원주민 고대 유적지가 호주에 또 하나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안겨줄 것인지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주 금요일(13일) ABC 방송은 빅토리아(Victoria) 주 남서부에 자리한 원주민 고대 유적지인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을 언급, 눈길을 끌었다.

연방 정부는 콘다 호수(Lake Condah) 주변에 있는 ‘부즈 빔 유적지’를 호주의 세계문화유산 예비 목록(World Heritage Tentative List)으로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 유적지가 문화유산에 등재되면 호주는 20번째 유네스코 지정의 자연 및 문화유산을 갖게 되며, 호주가 보유한 이 리스트 중 토착민의 문화적 가치를 가진 유적으로는 유일한 장소가 된다.

연방 정부의 문화유산 예비 명단 제출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보호해 온 호주 원주민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의 노력이 있었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거주해 왔으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 온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 데니스 로즈(Denis Rose)씨는 “문화유산 예비 명단에 올랐다는 소식에 안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군디츠마라’ 부족은 수천 년 동안 콘다 호수와 주변 습지대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왔다. 이들은 호수 인근의 습지에 장어를 잡기 위한 통로를 만들었으며, 이 유적들이 지금까지 잘 보존되어 장어를 잡기 위해 설치한, 복잡한 석재 덫 유물이 남아 있다.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물고기(장어) 양식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로즈씨는 이 유적지에 대해 “숨겨진 보물”이라고 강조하면서 “전통적으로 이를 소유해 온 군디츠마라 부족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경우 이 지역을 여행지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은 또한 호주 원주민 부족이 거주하던 돌 오두막이 남아 있는, 몇 개의 부지를 보호 및 관리해 왔다. 이는 ‘군디츠마라’ 부족이 초기부터 이 지역에 거주하면서 뱀장어를 기르고 이를 잡아 주식으로 삼아 왔다는 증거이다.

이 ‘부즈 빔 유적지’는 약 6천600여년 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이는 영국의 스톤헨지(Stonehenge), 이집트의 여러 피라미드(Pyramid)가 만들어지기 전에 형성된 것이다.

현재 호주에는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소재 ‘카카두’(Kakadu National Park), ‘울룰루’(Uluru-Kata Tjuta National Park),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등 19개의 자연-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유엔의 ‘세계유산위원회’는 1년에 한 차례 회의를 통해 예비로 등록된 리스트를 검토,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유엔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사를 위해 ‘부츠 빔 유적지’는 최소한 12개월 동안 ‘Australia’s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에 있어야 한다.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만들어낸 콘다 호수(Lake Condah). 이 지역에서 살아온 원주민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호수 인근의 습지에 뱀장어를 잡기 위한 돌 덫을 만들었으며, 이 유적이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다.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만들어낸 콘다 호수(Lake Condah). 이 지역에서 살아온 원주민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호수 인근의 습지에 뱀장어를 잡기 위한 돌 덫을 만들었으며, 이 유적이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다.
‘부즈 빔 유적지’ 인근의 습지대. 약 6천600년의 역사를 가진 이 유적은 영국 스톤헨지(Stonehenge), 이집트 피라미드들보다 더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부즈 빔 유적지’ 인근의 습지대. 약 6천600년의 역사를 가진 이 유적은 영국 스톤헨지(Stonehenge), 이집트 피라미드들보다 더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ShareTweet

Next Post

Australia Day, 동포사회 스포츠 행사 연이어

KoreanHerald

뉴스 카테고리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Uncategorized

주요 정보

  • About
  • Advertise
  • Contact

© 2020 한국신문 - Powered by Techwide.net.

Newsletter
No Result
View All Result
  • 정치
  • 사회
  • 부동산/경제
  • 교육
  • 문화
  • 동포뉴스
  • 칼럼
  • 매거진
  • 부동산
  • 디지털 한국신문

© 2020 한국신문 - Powered by Techwid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