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한 조속히 어린이 및 청소년 접종 확대하고 지속적 감염검사 필요
COVID-19 바이러스 방역과 관련한 공공보건명령 상의 제한조치 완화 내용을 보면, 전 세계 다수 국가들의 경우 호주에 비해 앞서 있는 편이다. 일부 국가는 호주의 완화 조치 6개월 전부터 이 조치를 시행하기도 했다.
반면 호주는 각 주(State) 별로 상황이 다르다. 16세가 넘는 인구의 90% 이상이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한 NSW 주는 지난 달 11일 첫 번째 제한을 해제했으며 이후 바이러스 감염자 수는 평균 200명을 약간 넘었다. 완전 접종 비율에서 NSW 주에 비해 약간 뒤쳐진 빅토리아(Victoria) 주는 지난 달 말경 제한 조치를 완화했으며 이후 감염자 발생 건수도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이다.
반면 감염사례가 나오지 않은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는 여전히 주 경계(State border)를 해제하지 않았으며, 내년 1월 말 또는 2월 초가 되어야 다른 주에서 오는 방문객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말에는 남부호주(South Australia)가, 12월부터는 퀸즐랜드(Queensland)와 타스마니아(Tasmania) 주가 주 경계를 해제한다.
제한 조치가 완화된 이후 NSW 주의 낮은 감염자 발생 수는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 다시 감염자가 급격히 늘어날 수도 있음은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호주 내 어딘가에서 또 한 번의 감염자 급증이 곧 일어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그렇다면 호주에 비해 훨씬 앞서 제한 조치를 완화한 국가들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최근 공영 ABC 방송은 영국,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 4개 국가 전염병 전문가들에게 ‘living with COVID’에 대한 설명을 요청했다.
■ 영국
현재 영국에서는 4만 명 넘는 일일 감염자 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매주 COVID-19로 사망하는 이들도 평균 1천 명 이상에 달한다.
보리스 존슨(Boris Johnson) 정부는 안면 마스크 착용 의무 철폐와 대부분의 제한을 해제하는 이른바 ‘자유의 날’(freedom day)을 선포한 지난 7월 이후의 COVID-19 접근 방식에 대해 상당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현재 영국에서는 전체 (백신접종) 적정인구의 68% 이상이 완전 접종을 완료한 상태이다. 이는 OECD 38개 국가 중 접종비율 면에서 18번째에 해당한다.
런던 소재 퀸 매리대학교(Queen Mary University) 전염병 학자이자 공공보건 전문가인 딥티 거다사니(Deepti Gurdasani) 연구원은 “영국 당국이 ‘자유의 날’을 선포한 뒤 4개월 후의 상황을 보면 이미 예상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다사니 연구원은 호주에 대해 “가능한 이른 시간에 어린이와 청소년 예방접종을 권고해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바이러스 전염의 많은 사례가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는 영국에서 이를 직접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London 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의 전염병 학자인 존 에드먼드(John Edmonds) 교수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폐지하고 10대들이 다시 학교로 등교하기 전 COVID-19 예방접종을 권고하지 않은 것은 보건 당국의 주요 실수”였음을 지적했다.
에드먼드 교수는 “또한 우리(영국)는 직장으로 복귀하는 이들과 감염자 접촉 추적 시스템을 통한 적극적인 검사를 시행했어야 한다”면서 “이제 ‘living with COVID’로 방역정책을 전환한 호주도 이 같은 접근방식을 취하며 가능한 재택근무를 권장할 것을 조언하고 싶다”고 말했다.
■ 미국
미국은 현재 6개월 이상 규제를 완화한 상황이다. 현재 미국의 COVID-19 확진자는 최근 7일 평균 8만3천 명, 사망자는 하루 평균 1,100명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2세 이상 인구의 약 69%가 두 차례의 예방접종을 완료했으며, 전국적으로 추가접종(booster shots)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전염병 진화 및 역학 전문가인 빌 하나게(Bill Hanage) 교수애 따르면 미국도 호주처럼 각 주(State)별로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사태를 다르게 겪고 있지만 호주와는 다른 방식이다. 예를 들어 플로리다(Florida)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체 사망자의 3분의 1은 올해 5월 이후에 발생했다는 것이다.
정부의 무딘 봉쇄 정책에 비판적이었던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의학 및 보건 경제학자 자얀타 바타차라야(Jayanta Bhattacharya) 교수는 미국의 가장 큰 ‘비극’에 대해 “전국적으로 엄청난 수의 노인 사망을 막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강압적(?) 봉쇄로 인해 사람들(특히 고령층)이 암 검진, 선택적 수술 및 기타 여러 중요한 건강 우선순위를 포함해 필수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팬데믹 이후 또 한 번의 겨울로 접어든 가운데 보건 부문의 일이 (바이러스 감염자로 인해) 확대되었지만 아직은 의료 시스템 붕괴를 우려할 만큼 압도당한 것은 아니라는 게 바타차라야 교수의 진단이다.
하지만 그에 따르면 의료 부분 종사자들 가운데 반강제적 백신접종 요구로 근로현장을 떠나는 쪽을 선택하는 이들이 있다. “올해 겨울 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의료 노동력이 감소하면 일부 시스템은 압도당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게 바타차라야 교수의 우려이다.
호주에 대한 하나게 교수의 조언은 간단하다. “COVID-19 백신이 이 바이러스를 사라지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어 “호주는 높은 접종률을 보이는 만큼 신선한(?) 면역력과 계절적 요인으로 다가오는 여름 시즌을 잘 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그는 “필요시 봉쇄 조치와 함께 안면 마스크, 빠른 항원검사 키트 등을 항상 준비해 놓는 등 바이러스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캐나다
현재까지 캐나다의 COVID-19 감염자는 176만 명, 사망자는 2만9,376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2,370명의 감염자, 2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캐나다는 전체 인구의 약 76%가 접종을 완료하여 OECD 국가 중에서는 스페인, 한국, 아이슬란드, 칠레, 포르투갈에 이어 9번째 높은 접종률을 보인다. 캐나다는 지난 9월 국경을 개방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제한 수준이 다르다.
토론토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의 감염통제 역학자 콜린 퍼니스(Colin Furness) 교수는 “호주와 마찬가지로 캐나다도 각 주마다 공공보건 정책이 계획, 실행되며, 때문에 COVID-19 방역 방안도 하나로 설명될 수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부가 도입하기를 바라는 한 가지는 ‘빠른 항원검사를 대규모로 시행하는 것’이다. 퍼너스 교수는 이 키트에 대해 “정확한 진단도구는 아니지만 절대적으로 뛰어난 스크리닝 키트”라고 말했다.
몬트리올(Montreal) 소재 ‘레이디 데이비스 의학연구소’(Lady Davis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의 면역학자인 앤 가티뇰(Anne Gatignol) 교수는 호주에서 백신접종 증명서로 알려진 ‘sanitary pass’가 잘 작동됐다는 의견을 전했다.
그녀에 따르면 (몬드리올의 경우) 식당 등 공공장소에 들어갈 때 ‘sanitary pass’가 있어야 가능하고 또한 안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며 식사를 할 때만 벗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테이블은 플렉시글라스로 분리되어 있으며 3가구, 최대 10명까지만 허용된다.
가티뇰 교수도 약국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빠른 항원검사 도입에 대해 퍼너스 교수와 의견을 같이 한다. 그러면서 캐나다의 사례를 기반으로 호주에 대해 “모든 것을 점진적으로 개방하고 감염사례를 면밀하게 모니터링 하여 감염 클러스터 확장을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빠른 항원검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더욱 강력한 봉쇄와 제한을 다시 시행할 준비를 하며, 이를 대중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도 덧붙였다.
■ 싱가포르
현재 싱가포르는 팬데믹으로 인한 가장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전 세계에서 COVID-19예방접종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인 싱가포르는 적격 인구의 80%가 완전 접종을 하면서 단계적으로 완화 조치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 조치가 시작된 후 지난 2개월 동안 일일 감염자는 평균 2,700명, 사망자는 13명으로 증가했다. 현재 싱가포르는 팬데믹 사태 이후 감염자 수 그래프에서 가장 가파른 곡선을 보이고 있다.
국립싱가포르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aw Swee Hock 공공보건대학원’(Saw Swee Hock School of Public Health) 학장인 익-잉 테오(Yik-Ying Teo) 교수는 “NSW 및 빅토리아 주의 감염자 수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이들 주 정부는 감염자 급증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자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병원 자원에 대한 수요가 한꺼번에 늘어날 것”이라는 그는 “백신접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정부가 대중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도 덧붙였다.
미생물 학자(국립싱가포르대학교)이자 전 세계보건기구(WHO) 전염병 클러스터 정책연구 책임자였던 틱키 팡(Tikki Pang) 교수는 “감염 사례 수보다는 감염으로 인한 병원입원 환자 및 사망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또한 호주도 “지속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특히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