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 서부 내륙 더보 카운슬, “판도 바꾸는 혁신”… 실험적 투자 고려
3D 프린터(printer)는 2D 프린터가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 입력한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기계를 말한다. 이는 디지털화 된 파일이 프린트에 전송되면 잉크를 종이 표면에 분사하여 2D 이미지(글자나 그림)를 인쇄하는 원리와 같다. 다만 2D 프린터는 앞뒤(x축)와 좌우(y축)으로만 운동하지만 3D 프린터는 여기에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게 된다.
오늘날 각 산업계에서는 이를 이용한 제품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이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택을 만들어낼 수도 있을까? 그리고 이것이 현재 호주의 부족한 주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주택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NSW 주 내륙의 한 지역 도시가 주택 문제의 판도를 바꾸는 혁신이 되기를 희망하면서 3D 프린팅 주택에 대한 시험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3D 프린팅 주택은 이미 미국, 이탈리아, 네덜란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올해 1월에는 멜번(Melbourne)에서 호주 최초의 3D 프린팅 주택이 단 3일 만에 완성돼 주목을 받은 바 있다.
NSW 주 서부 내륙, 인구 약 3만8,000명의 도시 더보(Dubbo) 시의회는 이 기술이 호주의 노동력 및 자재부족을 극복할 만큼 충분히 실행 가능한지, 아울러 이 주택이 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고 있다.
더보 지역 의회(Dubbo Regional Council)의 매트 라이트(Matt Wright) 시의원은 이 방식이 호주 부동산 시장에 혁명을 불러올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
그는 “3D 프린팅은 최근 수년 사이 등장한 용어같지만 이미 1980년대 초반부터 존재해 왔다”면서 “우리는 이 기술이 자동차 산업에서는 물론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등장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거의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그는 “이제 전 세계 국가에서 3D 프린트 기술을 이용한 대규모 주택 프로젝트가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라이트 시 의원은 3D 주택 시험을 위해 더보의 케스윅(Keswick)에 있는 주거용 부지에 4개의 블록을 할당해 달라는 제안서를 시 의회에 발의했다.
그는 3D 프린팅 주택의 가장 큰 이점은 ‘주거지를 완성하는 데 소요되는 빠른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며칠 안에 주택 하나를 인쇄해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회사들이 등장한 상태”라는 그는 “이는 엄청난 비용 절감”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건축 부문의 많은 노동자를 실직으로 내몰 것이라고 우려하지만 주거지로 완성시키기 위한 배관, 전기, 미장 등의 기술 인력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게 라이트 시 위원의 설명이다.
라이트 시 의원의 말처럼 3D 프린터는 최근 2~3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있지만, 그 역사는 198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의 ‘3D 시스템즈’라는 회사에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프린터를 개발한 것이 그 시초였다. 그러나 3D 프린터 자체를 만들어내는 높은 생산 비용 및 지적재산권 등의 이유로 인해 항공이나 자동차 산업 등에서 시제품을 만드는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다 최근 3D 프린터를 제작하는 비용이 급격히 떨어지고 지적재산권 행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개발, 보급되고 있다.
현재 NSW대학교는 이상적인 3D 프린팅 주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건축설계 전문가들과 협력하고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